본문 바로가기
인공지능 이야기

구글의 Bard[바드] 사용법 및 후기

by 인공지능과 함께 2023. 11. 3.

구글의 Bard

OpenAI의 ChatGPT의 급격한 부상 이후 거대 언어 모델 혹은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가 높아졌습니다. 이에 인공지능의 대가 중 한 곳인 구글에서도 ChatGPT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BARD라는 인공지능을 출시했습니다. BARD는 ChatGPT와 마찬가지로 한국어를 지원하여 우리로 하여금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했습니다. 아래는 제가 직접 한국어로 Bard에 질문한 내용입니다.

Bard와 질의응답
Bard와 질의응답

Bard는 Experiment이라고 돼 있는만큼 글을 쓰는 지금을 기준으로 아직 실험용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아직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겠죠?

 

이어지는 글에서는 간단한 예시와 함께 Bard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그 속에서 사용 후기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래서 Bard의 장점은?

속도가 생명

Bard의 장점 중 하나라고 생각되는 부분은 ChatGPT에 비해 빠르게 답을 도출한다는 것입니다. ChatGPT의 경우 사용자가 많으면 인공지능이 답하는 속도가 느려지거나 완전히 답을 거부하는 상황이 종종 있었습니다. 물론 GPT-4를 사용한다면 이러한 문제를 많이 해소되지만, 유료라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하죠. 하지만 구글의 Bard는 무료이면서도 또 빠르게 답을 제공합니다. 물론 이 부분은 개인적인 느낌이기에 다를 수도 있으며, 두 AI가 답을 보여주는 형식에 영향을 받은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바로 아래의 장점 덕에 확실히 "Bard가 빠르구나"를 느끼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의견 제시

또 다른 장점이자 ChatGPT와의 차이점은 바로 한 질문에 대해 여러 형식의 답변을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인사말을 100자로 써줘"라고 Bard에게 명령하면, Bard는 다음과 같이 3개 정도의 추가적인 답변을 제시합니다. 체감상으로 Bard가 ChatGPT보다 빠르지만, 동일하게 답변을 제시한다고 가정했을 때, 아래와 같이 3개의 답변을 제시하는 Bard가 ChatGPT보다 월등히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겠죠?

추가 답변을 제공하는 Bard
추가 답변을 제공하는 Bard

 

구글 그 자체와의 연동

검색엔진 연동

제가 생각하는 Bard의 눈에 띄는 차별점이자 강점은 구글의 검색 서비스와 YouTube 서비스와의 연동에 있습니다.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Google은 검색엔진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유명합니다. AI가 판치기 이전에는 저 같은 개발자는 Google을 자주 이용했었죠. Google의 검색엔진은 세계 여러 나라들의 정보가 담겨 있기에 Bard가 구글 검색엔진과 연동되는 것은 상당히 큰 장점에 속합니다. 이는 곧 최신 정보를 Bard가 반영할 수 있다는 의미기도 합니다. 무료 버전의 ChatGPT는 현재 글을 쓰는 시간 기준으로 2022년도의 정보만 반영한다고 합니다.

최신 정보를 반영하는 Bard
최신 정보를 반영하는 Bard

이미지

우리는 Google을 지식을 얻을 때도 사용하지만, 어떤 특정한 이미지나 연애인의 사진을 검색할 때도 Google의 검색엔진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사진"을 검색하면, 이미지로 한국의 여러 아름다운 사진들이 결과로 나오게 됩니다. Google의 검색엔진과 연동되는 Bard도 당연히 이러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물론 사진 그 자체를 그리거나 새롭게 창조한다는 느낌보다는 Google 검색엔진에 등록된 사이트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형식입니다. 그럼에도 이건 굉장한 기능이겠죠?

https://g.co/bard/share/8c26b1cdbba0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명소를 보여줘

Bard로 생성되었습니다.

bard.google.com

 

Google Map

우리에게는 SKT, Kakao 그리고 NAVER에서 제공하는 여러 지도와 네비게이션 어플 덕분에 Google Map의 위상이 그렇게 높지는 않지만, 외국에서는 Google Map의 위상이 상당히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저 또한 미국에 있었을 때, 마땅한 어플을 못 찾아 Google Map을 많이 사용했고요. Bard는 Google Map과 연동이 잘 돼 있습니다. "How long is the drive from Atlanta to Orlando and give me some ideas for how to keep 3 kids entertained in the car"라고 질문했을 때, Atlanta에서 Orlando까지의 경로를 Google Map으로 보여줬으며, 목적지까지의 거리(439마일)와 소요 시간(6시간 34분) 그리고 그 시간 동안 3명의 아이들과 즐길 거리를 제시했습니다.

https://g.co/bard/share/b0794fce6176

 

‎How long is the drive from Atlanta to Orlando and give me some ideas for how to keep 3 kids entertained in the car

Bard로 생성되었습니다.

bard.google.com

 

Google Hotels

여기어때, AirBnb 등의 플랫폼과 비슷한 Google Hotels 또한 Bard와 연동돼 있습니다. "기존의 시스템도 편했는데?"라는 의문이 들 수 있는데요, 언어 모델의 큰 장점은 "인간이 말하는 것처럼 질문을 할 수 있다"입니다. 호텔이나 숙박시설을 알아 볼 때 여기어때나 AirBnb 등에서는 "서울", "7일" 등의 키워드 중심으로 검색을 진행했지만, Bard에서는 "Finds hotels in Seoul for a week in December and suggest a packing list" 등으로 물어본다면 12얼에 서울에서 이용할 수 있는 호텔 목록과 가격 그리고 갈 때 필요한 물품 목록등도 같이 보여줍니다. 기존의 플랫폼과의 큰 차이점이죠. 아래의 사이트에서 제 질문에 대한 Bard의 답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g.co/bard/share/d1b9f528e751

 

‎Find hotels in Phuket for a week in March and suggest a packing list

Bard로 생성되었습니다.

bard.google.com

 

 

YouTube 연동

 

전세계에서 많이 사용되는 비디오 플렛폼 중 하나를 뽑자 하면 많은 사람들이 YouTube를 뽑을 것입니다. YouTube는 구글이 제공하는 비디오 서비스이며, 현재 구글이 이쪽 시장을 지원해 줘 시장 자체가 상당히 활성화돼 있죠. YouTube로 강의를 보고, 게임 영상을 시청하는 등 사람들은 YouTube를 애용하고 있습니다.

 

Bard의 장점은 이러한 YouTube와 연동이 된다는 점인데요, 다음과 같이 유튜브 영상을 바로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즉, 기존의 잘 갖춰진 검색 문장을 만들어 적절한 영상을 찾는 방식에서, 단순히 대화하는 방식으로 우리가 원하는 영상을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저는 YouTube보다는 블로그나 StackOverflow 그리고 논문 혹은 여러 forum 등에서 정보를 취득하고 이들을 통해 공부하지만, YouTube를 애용하는 현대의 어린 친구들에게는 아래와 같은 기능이 상당히 매력적으로 느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Bard의 YouTube 연동
Bard의 YouTube 연동

 

그 외 자사 서비스 연동

  • Google Flights: 항공 연동 서비스로, 저는 sky scanner를 통해 항공권을 구매했을 때 사용해본 서비스입니다.
  • Google Workspace: Gmail, Drive 그리고 Docs 등의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사소하지만 유용한 기능

 

재밌는 기능이자 제가 ChatGPT에게 원했던 기능을 Bard는 제공합니다. 바로 아래와 같은 기능입니다.

  • 답변을 짧게 혹은 길게
  • 더욱 자세하게 혹은 쉽게 이해할 수 있게

ChatGPT에서 짧은 혹은 긴 답변을 원할 경우, "~~에 대해 300자 정도로 설명해" 혹은 "~~에 대해 100자 이내로 설명해"라고 프롬프트를 넣어야 했습니다. 하지만, Bard의 경우 같은 프롬프트에 대해 "더 짧게" 혹은 "더 길게" 상황에 따라 "간단하게"라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게 만들어 답변의 길이를 지정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간혹 전문적인 지식의 방향을 얻고자할 때는 "~~에 대해 자세히 그리고 전문적으로"라는 프롬프트를 만들어 ChatGPT에 제공했습니다. Bard는 이런 기능을 옵션으로 제공합니다. 상황에 따라 손쉽게 전문적인 답변 혹은 쉽게 설명된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

편리한 기능
편리한 기능

 

 

그럼에도 존재하는 단점

다른 인공지능처럼 거짓말을 한다.

Bard도 인공지능이기 때문에 인공지능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큰 문제이자 Google의 주가를 하락시킨 "그럴듯한 거짓말 생성"입니다. 이는 ChatGPT 뿐만 아니라 다른 인공지능에서도 볼 수 있는 현상으로, 인공지능 분야에서는 치명적인 결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체감상으로는 ChatGPT보다 조금 더 이런 성향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Bard의 현재 출시 버전이 Bard Experiment이기 때문에 아직은 발전의 가능성이 열려 있고, 이러한 문제를 완화할 수 있는 기회는 아직 충분히 남아 있습니다. 또한 Google은 이 부분에 대한 연구를 계속해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국어 실력은 아직 미흡

 

한국어를 지원하지만, 아직 Experiment 단계이기 때문에 영어에 비해 상당히 서비스 제공에 제한이 있습니다. 위에서 제가 Google Map 혹은 YouTube의 예시를 보일 때 영어로 프롬프트를 만든 이유입니다. (혹은 제가 한국어로 해당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모르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